An online interlinear Korean-English 원리강론 - Exposition of Divine Principle.
Currently working on
제1장 창 조 원 리 Chapter 1 The Principle of Creation (Red Part)
Completed:
총 서 Introduction (Red Part)
Exposition of Divine Principle
![]() |
문선명, 文鮮明,
Sun Myung Moon
Source: https://trueteaching.org/dp/dp01/ & https://www.tparents.org/Library/Unification/Books/DP06/0-Toc.htm
Download (pdf) of English translation:
Exposition of Divine Principle (1996)
제1절 하나님의 이성성상과 피조세계 The Dual Characteristics of God and the Created Universe
1.1 하나님의 이성성상 The Dual Characteristics of God
1.2 하나님과 피조세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the Universe
제2절 만유원력과 수수작용 및 사위기대 Universal Prime Energy, Give and Take Action and the Four Position Foundation
2.1 만유원력 Universal Prime Energy
2.2 수수작용 Give and Take Action
2.3 정분합작용에 의하여 삼대상목적을 이룬 사위기대 The Four Position Foundation Which Realizes the Three Object Purpose through Origin-Division-Union Action
2.3.1 정분합작용 Origin-Division-Union Action
2.3.2 삼대상목적 The Three Object Purpose
2.3.3 사위기대 The Four Position Foundation
2.3.4 사위기대의 존재양상 The Mode of Existence of the Four Position Foundation
2.4 하나님의 편재성 The Omnipresence of God
2.5 생리체의 번식 The Multiplication of Life
2.6 모든 존재가 이성성상으로 되어 있는 이유 The Reason All Beings Are Composed of Dual Characteristics
제3절 창 조 목 적 The Purpose of Creation
3.1 피조세계를 창조하신 목적 The Purpose of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3.2 하나님의 기쁨을 위한 선의 대상 Good Object Partners for the Joy of God
제4절 창조본연의 가치 Original Value
4.1 창조본연의 가치의 결정과 그 가치의 기준 The Process and Standard for the Determination of Original Value
4.2 창조본연의 지 정 의와 창조본연의 진 미 선 Original Emotion, Intellect and Will; and Original Beauty, Truth and Goodness
4.3 사랑과 미, 선과 악, 의와 불의 Love and Beauty, Good and Evil, Righteousness and Unrighteousness
4.3.1 사랑과 미 Love and Beauty
4.3.2 선 과 악 Good and Evil
4.3.3 의와 불의 Righteousness and Unrighteousness
제5절 피조세계의 창조과정과 그의 성장기간 The Process of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and Its Growing Period
5.1 피조세계의 창조과정 The Process of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5.2 피조물의 성장기간 The Growing Period for the Creation
5.2.1 성장기간의 질서적 3단계 The Three Ordered Stages of the Growing Period
5.2.2 간접 주관권 The Realm of Indirect Dominion
5.2.3 직접주관권 The Realm of Direct Dominion
제6절 인간을 중심한 무형실체세계와 유형실체세계 The Incorporeal World and the Corporeal World Whose Center is Human Beings
6.1 무형실체세계와 유형실체세계 The Incorporeal World and the Corporeal World as Substantial Realities
6.2 피조세계에 있어서의 인간의 위치 The Position of Human Beings in the Cosmos
6.3 육신과 영인체와의 상대적 관계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Self and the Spirit Self
6.3.1 육신의 구성과 그의 기능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the Physical Self
6.3.2 영인체의 구성과 그의 기능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the Spirit Self
6.3.3 생심과 육심과의 관계로 본 인간의 마음 The Spirit Mind, the Physical Mind and Their Relationship in the Human Mind
제1절 죄의 뿌리 The Root of Sin
1.1 생명나무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 The Tree of Life and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1.1.1 생명나무 The Tree of Life
1.1.2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1.2 뱀의 정체 The Identity of the Serpent
1.3 천사의 타락과 인간의 타락 The Fall of the Angel and the Fall of Human Beings
1.3.1 천사의 타락과 인간의 타락 The Crime of the Angel
1.3.2 인간의 범죄 The Crime of the Human Beings
1.3.3 천사와 인간과의 행음 The Illicit Sexual Act between the Angel and the Human Beings
1.4 선악과 The Fruit of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1.5 죄의 뿌리 The Root of Sin
제2절 타락의 동기와 경로 The Motivation and Process of the Fall
2.1 천사의 창조와 그의 사명 및 그와 인간과의 관계 Angels, Their Missions and Their Relationship to Human Beings
2.2 영적 타락과 육적 타락 The Spiritual Fall and the Physical Fall
2.2.1 영적 타락 The Spiritual Fall
2.2.2 육적 타락 The Physical Fall
제3절 제3절 사랑의 힘과 원리의 힘 및 믿음을 위한 계명 The Power of Love, the Power of the Principle and God's Commandment
3.1 사랑의 힘과 원리의 힘으로 본 타락 The Power of Love and the Power of the Principle in the Human Fall
3.2 믿음을 위한 계명을 주신 목적 Why God Set Up the Commandment as an Object of Faith
3.3 믿음을 위한 계명이 필요한 기간 The Period During Which the Commandment Was Necessary
제4절 인간 타락의 결과 The Consequences of the Human Fall
4.1 사탄과 타락인간 Satan and Fallen Humanity
4.2 인간세계에 대한 사탄의 활동 Satan's Activities in Human Society
4.3 목적성으로 본 선과 악 Good and Evil Seen from the Viewpoint of Purpose
4.4 선신의 역사와 악신의 역사 The Works of Good Spirits and Evil Spirits
4.5 죄 Sin
4.6 타락성본성 The Primary Characteristics of the Fallen Nature
제5절 자유와 타락 Freedom and the Human Fall
5.1 자유의 원리적 의의 The Meaning of Freedom from the Viewpoint of the Principle
5.2 자유와 인간의 타락 Freedom and the Human Fall
5.3 자유와 타락과 복귀 Freedom, the Fall and Restoration
제6절 하나님이 인간조상의 타락행위를 간섭하시지 않은 이유 The Reason God Did Not Intervene in the Fall of the First Human Ancestors
6.1 창조원리의 절대성과 완전무결성을 위하여 To Maintain the Absoluteness and Perfection of the Principle of Creation
6.2 하나님만이 창조주로 계시기 위하여 That God Alone Be the Creator
6.3 인간을 만물의 주관위에 세우시기 위하여 To Make Human Beings the Lords of Creation
제1절 하나님의 창조목적의 완성과 인간의 타락 The Completion of God's Purpose of Creation and the Human Fall
1.1 하나님의 창조목적의 완성 The Completion of God's Purpose of Creation
1.2 인간의 타락 Consequences of the Human Fall
제2절 구원섭리 God's Work of Salvation
2.1 구원섭리 God's Work of Salvation is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2.2 복귀섭리의 목적 The Goal of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2.3 인류역사는 곧 복귀섭리역사다 Human History Is the History of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제3절 말 세 The Last Days
3.1 말세의 의의 The Meaning of the Last Days
3.1.1 노아 때도 말세였다 Noah's Day was the Last Days
3.1.2 예수 때도 말세였다 Jesus' Day was the Last Days
3.1.3 예수의 재림 때도 말세다 The Day of Christ's Second Advent is the Last Days
3.2 말세의 징조에 관한 성구 Bible Verses Concerning the Signs of the Last Days
3.2.1 하늘과 땅을 멸하고 (벧후 3 : 12, 창 6 : 13) 새 하늘과 새 땅을 이루심(계 21 : 1, 벧후 3 : 13, 사 66 : 22) Heaven and Earth Destroyed, and a New Heaven and a New Earth Created
3.2.2 하늘과 땅을 불로써 심판하심 (벧후 3 : 12) Heaven and Earth Judged by Fire
3.2.3 무덤에서 시체가 일어남 (마 27 : 52, 살전 4 : 16) The Dead Rising from Their Tombs
3.2.4 지상인간들이 끌어 올리워 공중에서 주를 영접함 (데살 4 : 17) People on Earth Caught Up to Meet the Lord in the Air
3.2.5 해와 달이 빛을 잃고 별들이 하늘에서 떨어짐 (마 24 : 29) The Sun Darkened, the Moon Not Giving Light and the Stars Falling from Heaven
제4절 말세와 현세 The Last Days and the Present Days
4.1 제1축복 복귀의 현상 Signs of the Restoration of the First Blessing
4.2 제2축복 복귀의 현상 Signs of the Restoration of the Second Blessing
4.3 제3축복 복귀의 현상 Signs of the Restoration of the Third Blessing
제5절 말세와 새 말씀과 우리의 자세 The Last Days, the New Truth and Our Attitude
5.1 말세와 새 진리 The Last Days and the New Truth
5.2 말세에 처한 우리들이 취할 자세 Our Attitude in the Last Days
Chart 1: The Unfolding Manifestation of God's Word in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and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제1절 십자가에 의한 구원섭리 Salvation through the Cross
1.1 메시아로 강림하셨던 예수의 목적 The Purpose of Jesus' Coming as the Messiah
1.2 십자가의 대속으로 인하여 구원섭리가 완성되었는가 Was Salvation Completed through the Cross?
1.3 예수의 십자가의 죽음 Jesus' Death on the Cross
1.4 십자가의 대속으로 인한 구원의 한계와 예수 재림의 목적 The Limit of Salvation through Redemption by the Cross and the Purpose of Jesus' Second Advent
1.5 십자가에 대한 예언의 양면 Two Kinds of Prophecies Concerning the Cross
1.6 십자가의 죽음이 필연적인 것처럼 기록되어 있는 성구 Gospel Passages in Which Jesus Spoke of His Crucifixion as if It Were Necessary
제2절 엘리야의 재림과 세례요한 The Second Coming of Elijah and John the Baptist
2.1 엘리야의 재림을 중심한 유대인들의 심적 동향 The Jewish Belief in the Return of Elijah
2.2 유대민족의 갈 길 The Direction the Jewish People Would Choose
2.3 세례 요한의 불신 The Faithlessness of John the Baptist
2.4 세례 요한이 엘리야가 된 이유 The Sense in Which John the Baptist Was Elijah
2.5 성서를 대하는 우리의 태도 Our Attitude toward the Bible
제1절 부활 Resurrection
1.1 죽음과 삶에 대한 성서의 개념 The Biblical Concepts of Life and Death
1.2 타락으로 인한 죽음 The Death Caused by the Human Fall
1.3 부활의 의의 The Meaning of Resurrection
1.4 부활은 인간에게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가 What Changes Does Resurrection Cause in Human Beings?
제2절 부활섭리 The Providence of Resurrection
2.1 부활섭리는 어떻게 하시는가 How Does God Carry Out His Work of Resurrection?
2.2 지상인에 대한 부활섭리 The Providence of Resurrection for People on Earth
2.2.1 부활기대섭리 The Providence to Lay the Foundation for Resurrection
2.2.2 소생부활섭리 The Providence of Formation-Stage Resurrection
2.2.3 장성부활섭리 The Providence of Growth-Stage Resurrection
2.2.4 완성부활섭리 The Providence of Completion-Stage Resurrection
2.2.5 천국과 낙원 The Kingdom of Heaven and Paradise
2.2.6 말세에 일어나는 영적인 현상 Spiritual Phenomena in the Last Days
2.2.7 첫째 부활 The First Resurrection
2.3 영인에 대한 부활섭리 The Providence of Resurrection for Spirits
2.3.1 영인들이 재림부활하는 이유와 그 방법 The Purpose and the Way of Returning Resurrection
2.3.2 기독교를 믿고 간 영인들의 재림부활 The Returning Resurrection of the Spirits of Israelites and Christians
2.3.2.1 장성재림부활 Growth-Stage Returning Resurrection
2.3.2.2 완성재림부활 Completion-Stage Returning Resurrection
2.3.3 낙원 이외의 영인들의 재림부활 The Returning Resurrection of Spirits Who Abide Outside Paradise
2.4 재림부활로 본 윤회설 The Theory of Reincarnation Examined in Light of the Principle of Returning Resurrection
제3절 재림부활에 의한 종교의 통일 The Unification of Religions through Returning Resurrection
3.1 재림부활에 의한 기독교의 통일 The Unification of Christianity through Returning Resurrection
3.2 재림부활에 의한 다른 모든 종교의 통일 The Unification of All Other Religions through Returning Resurrection
3.3 재림부활에 의한 비종교인의 통일 The Unification of Non-Religious People through Returning Resurrection
제1절 뜻에 대한 예정 The Predestination of God's Will
제2절 뜻 성사에 대한 예정 The Predestination of the Way in Which God's Will Is Fulfilled
제3절 인간에 대한 예정 The Predestination of Human Beings
제4절 예정설을 세워주는 성구 해명 Elucidation of Biblical Verses Which Support the Doctrine of Absolute Predestination
제1절 창조목적을 완성한 인간의 가치 The Value of a Person Who Has Realized the Purpose of Creation
제2절 창조목적을 완성한 인간과 예수님 Jesus and the Person Who Has Realized the Purpose of Creation
2.1 생명나무 복귀로 본 완성한 아담과 예수님 Perfected Adam, Jesus and the Restoration of the Tree of Life
2.2 창조목적의 완성으로 본 인간과 예수님 Jesus, Human Beings and the Fulfillment of the Purpose of Creation
2.3 예수는 하나님 자신이신가 Is Jesus God Himself?
제3절 타락인간과 예수님 Jesus and Fallen People
제4절 중생론과 삼위일체론 Rebirth and Trinity
4.1 중생론 Rebirth
4.1.1 중생의 사명으로 본 예수와 성신 Jesus and the Holy Spirit and Their Mission to Give Rebirth
4.1.2 로고스의 이성성상으로 본 예수와 성신 Jesus and the Holy Spirit and the Dual Characteristics of the Logos
4.1.3 예수와 성신에 의한 영적 중생 Spiritual Rebirth through Jesus and the Holy Spirit
4.2 삼위일체론 The Trinity
제1절 The Principle of Restoration through Indemnity
1.1 탕감복귀원리 Restoration through Indemnity
1.2 메시아를 위한 기대 The Foundation for the Messiah
1.2.1 믿음의 기대 The Foundation of Faith
1.2.2 실체기대 The Foundation of Substance
제2절 복귀섭리노정 The Course of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2.1 복귀섭리노정의 시대적 단계 The Ages in the Course of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2.2 복귀섭리노정의 시대 구분 Categorization of the Ages in the Course of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2.2.1 말씀에 의한 섭리로 본 시대 구분 The Ages Categorized with Reference to God's Word
2.2.2 부활섭리로 본 시대구분 The Ages Categorized with Reference to God's Work of Resurrection
2.2.3 믿음의 기간을 탕감복귀하는 섭리로 본 시대 구분 The Ages Categorized with Reference to the Providence to Restore through Indemnity the Lost Periods of Faith
2.2.4 메시아를 위한 기대의 범위로 본 시대 구분 The Ages Categorized with Reference to the Expanding Scope of the Foundation for the Messiah
2.2.5 책임분담으로 본 시대 구분 The Ages Categorized with Reference to Responsibility
2.2.6 섭리적 동시성으로 본 시대 구분 The Ages Categorized with Reference to the Parallels in the Providence
제3절 복귀섭리역사와 나 The History of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and I
제1절 아담가정을 중심한 복귀섭리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in Adam's Family
1.1 믿음의 기대 The Foundation of Faith
1.2 실 체 기 대 The Foundation of Substance
1.3 아담가정에 있어서의 메시아를 위한 기대와 그의 상실 The Foundation for the Messiah in Adam's Family
1.4 아담가정이 보여 준 교훈 Some Lessons from Adam's Family
제2절 노아가정을 중심한 복귀섭리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in Noah's Family
2.1 믿음의 기대 The Foundation of Faith
2.1.1 믿음의 기대를 복귀하는 중심인물 The Central Figure for the Foundation of Faith
2.1.2 믿음의 기대를 복귀하기 위한 조건물 The Object for the Condition in Restoring the Foundation of Faith
2.2 실체기대 The Foundation of Substance
2.3 노아가정이 보여준 교훈 Some Lessons from Noah's Family
제3절 아브라함가정을 중심한 복귀섭리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in Abraham's Family
3.1 믿음의 기대 The Foundation of Faith
3.1.1 믿음의 기대를 보귀하는 중심인물 The Central Figure for the Foundation of Faith
3.1.2 믿음의 기대를 복귀하기 위한 조건물 The Objects for the Condition Offered for the Foundation of Faith
3.1.2.1 아브라함의 상징헌제 Abraham's Symbolic Offering
3.1.2.2 아브라함의 이삭 헌제 Abraham's Offering of Isaac
3.1.2.3 뜻으로 본 이삭의 위치와 그의 상징헌제 Isaac's Position and His Symbolic Offering in the Sight of God
3.2 실체기대 The Foundation of Substance
3.3 메시아를 위한 기대 The Foundation for the Messiah
3.4 아브라함을 중심한 복귀섭리가 우리에게 보여 준 교훈 Some Lessons from Abraham's Course
제1절 사탄 굴복의 본보기노정 The Model Courses for Bringing Satan to Submission
1.1 예수의 전형노정으로 야곱노정과 모세노정을 세우신 이유 Why Jacob's Course and Moses' Course Were Set Up as the Models for Jesus' Course
1.2 야곱노정을 본보기로 하여 걸은 모세노정과 예수노정 Jacob's Course as the Model for Moses' and Jesus' Courses
제2절 모세를 중심한 복귀섭리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under the Leadership of Moses
2.1 모세를 중심한 복귀섭리의 개관 Overview of the Providence Led by Moses
2.1.1 믿음의 기대 The Foundation of Faith
2.1.1.1 믿음의 기대를 복귀하는 중심인물 The Central Figure to Restore the Foundation of Faith
2.1.1.2 믿음의 기대를 복귀하기 위한 조건물 The Object for the Condition in Restoring the Foundation of Faith
2.1.2 실체기대 The Foundation of Substance
2.1.3 메시아를 위한 기대 The Foundation for the Messiah
2.2 모세를 중심한 민족적 가나안 복귀노정 The National Courses to Restore Canaan under the Leadership of Moses
2.2.1 제 1차 민족적 가나안 복귀노정 The First National Course to Restore Canaan
2.2.1.1 믿음의 기대 The Foundation of Faith
2.2.1.2 실체기대 The Foundation of Substance
2.2.1.3 제 1차 민족적 가나안 복귀노정의 실패 The Failure of the First National Course to Restore Canaan
2.2.2 제 2차 민족적 가나안 복귀노정 The Second National Course to Restore Canaan
2.2.2.1 믿음의 기대 The Foundation of Faith
2.2.2.2 실체기대 The Foundation of Substance
2.2.2.3 성막을 중심한 복귀섭리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and the Tabernacle
2.2.2.3.1 석판 성막 법궤 등의 의의와 그 목적FFWPU AdelaideThe Significance and Purpose of the Tablets of Stone, the Tabernacle and the Ark of the Covenant
2.2.2.3.2 성막을 위한 기대 The Foundation for the Tabernacle
2.2.2.4 제 2차 민족적 가나안 복귀노정의 실패 The Failure of the Second National Course to Restore Canaan
2.2.3 제3차 민족적 가나안 복귀노정 The Third National Course to Restore Canaan
2.2.3.1 믿음의 기대 The Foundation of Faith
2.2.3.2 실체기대 The Foundation of Substance
2.2.3.2.1 모세를 중심한 실체기대 The Foundation of Substance Centered on Moses
2.2.3.2.2 여호수아를 중심한 실체기대 The Foundation of Substance Centered on Joshua
2.2.3.3 메시아를 위한 기대 The Foundation for the Messiah
2.3 모세노정이 보여준 교훈 Some Lessons from Moses' Course
제3절 예수님을 중심한 복귀섭리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under the Leadership of Jesus
3.1 제 1 차 세계적 가나안 복귀노정 The First Worldwide Course to Restore Canaan
3.1.1 믿음의 기대 The Foundation of Faith
3.1.2 실체기대 The Foundation of Substance
3.1.3 제1차 세계적 가나안 복귀노정의 실패 The Failure of the First Worldwide Course to Restore Canaan
3.2 제2차 세계적 가나안 복귀노정 The Second Worldwide Course to Restore Canaan
3.2.1 믿음의 기대 The Foundation of Faith
3.2.1.1 예수님이 세례 요한의 사명을 대신하심 Jesus Takes On the Mission of John the Baptist
3.2.1.2 예수님의 광야 40일 금식기도와 3대 시험 Jesus' Forty-Day Fast and Three Temptations in the Wilderness
3.2.1.3 40일 금식과 3대 시험으로 사탄을 분립한 결과 The Result of the Forty-Day Fast and the Three Temptations
3.2.2 실체기대 The Foundation of Substance
3.2.3 제2차 세계적 가나안 복귀노정의 실패 The Failure of the Second Worldwide Course to Restore Canaan
3.3 제3차 세계적 가나안 복귀노정 The Third Worldwide Course to Restore Canaan
3.3.1 예수님을 중심한 영적 가나안 복귀노정 The Spiritual Course to Restore Canaan under Jesus' Leadership
3.3.1.1 영적인 믿음의 기대 The Spiritual Foundation of Faith
3.3.1.2 영적인 실체기대 The Spiritual Foundation of Substance
3.3.1.3 메시아를 위한 영적인 기대 The Spiritual Foundation for the Messiah
3.3.1.4 영적 가나안 복귀 The Restoration of Spiritual Canaan
3.3.2 재림주님을 중심한 실체적 가나안 복귀노정 The Course to Restore Substantial Canaan under the Leadership of Christ at the Second Advent
3.4 예수의 노정이 보여준 교훈 Some Lessons from Jesus' Course
제1절 섭리적 동시성의 시대 Parallel Providential Periods
제2절 복귀기대섭리시대의 대수와 그 연수의 형성 The Number of Generations or Years in the Periods of the Age of the Providence to Lay the Foundation for Restoration
2.1 복귀섭리는 왜 연장되며 또 어떻게 연장되는가 Why and How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Is Prolonged
2.2 종적인 탕감조건과 횡적인 탕감복귀 Vertical Indemnity Conditions and Horizontal Restoration through Indemnity
2.3 종으로 된 횡적인 탕감복귀 Horizontal Restoration through Indemnity Carried Out Vertically
2.4 믿음의 기대를 복귀하기 위한 수리적인 탕감기간Numerical Indemnity Periods for Restoring the Foundation of Faith
2.5 대수를 중심한 동시성의 시대 The Parallel Period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Generations
2.6 종으로 된 횡적 탕감복귀섭리시대 Providential Periods of Horizontal Restoration through Indemnity Carried Out Vertically
제3절 복귀섭리시대를 형성하는 각 시대와 그의 연수 The Periods in the Age of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and Their Lengths
3.1 애급고역시대 400년 The Four-Hundred-Year Period of Slavery in Egypt
3.2 사사시대 400년 The Four-Hundred-Year Period of the Judges
3.3 통일왕국시대 120년The One-Hundred-and-Twenty-Year Period of the United Kingdom
3.4 남북왕조분립시대 400년 The Four-Hundred-Year Period of the Divided Kingdoms of North and South
3.5 유대민족 포로 및 귀환시대 210년 The Two-Hundred-and-Ten-Year Period of Israel's Exile and Return
3.6 메시아 강림준비시대 400년 The Four-Hundred-Year Period of Preparation for the Advent of the Messiah
제4절 복귀섭리연장시대를 형성하는 각 시대와 그의 연수 The Periods in the Age of the Prolongation of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and Their Lengths
4.1 로마제국 박해시대 400년 The Four-Hundred-Year Period of Persecution in the Roman Empire
4.2 교구장제기독교회시대 400년 The Four-Hundred-Year Period of Regional Church Leadership
4.3 기독왕국시대 120년 The One-Hundred-and-Twenty-Year Period of the Christian Empire
4.4 동서왕조분립시대 400년 The Four-Hundred-Year Period of the Divided Kingdoms of East and West
4.5 교황 포로 및 귀환시대 210년 The Two-Hundred-and-Ten-Year Period of Papal Exile and Return
4.6 The Four-Hundred-Year Period of Preparation for the Second Advent of the Messiah
Chart 2: Parallel Providential Periods
제1절 애급고역시대와 로마제국 박해시대 The Period of Slavery in Egypt and the Period of Persecution in the Roman Empire
제2절 사사시대와 교구장제기독교회시대 The Period of the Judges and the Period of Regional Church Leadership
제3절 통일왕국시대와 기독왕국시대 The Period of the United Kingdom and the Period of the Christian Empire
제4절 남북왕조분립시대와 동서왕조분립시대 The Period of the Divided Kingdoms of North and South and the Period of the Divided Kingdoms of East and West
제5절 유대민족 포로 및 귀환시대와 교황 포로 및 귀환시대 The Period of Israel's Exile and Return and the Period of the Papal Exile and Return
제6절 메시아 강림준비시대와 메시아 재강림준비시대 The Period of Preparation for the Advent of the Messiah and the Period of Preparation for the Second Advent of the Messiah
제7절 복귀섭리로 본 역사 발전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and the Progress of History
7.1 복귀섭리시대에 있어서의 역사 발전 The Progress of History in the Age of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7.2 복귀섭리연장시대에 있어서의 역사 발전 The Progress of History in the Age of the Prolongation of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7.2.1 복귀섭리와 서양사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and the History of the West
7.2.2 종교사와 경제사와 정치사의 상호관계 The Mutual Relations between Religious History, Economic History and Political History
7.2.3 씨족사회 Clan Society
7.2.4 봉건사회 Feudalistic Society
7.2.5 군주사회와 제국주의사회 Monarchic Society and Imperialism
7.2.6 민주주의와 사회주의 Democracy and Socialism
7.2.7 공생공영공의주의와 공산주의 The Ideals of Interdependence, Mutual Prosperity and Universally Shared Values versus Communism
Chart 3: The Progress of History as Guided by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제1절 종교개혁기 (1517∼1648)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1517-1648)
1.1 문예부흥 (Renaissance) The Renaissance
1.2 종교개혁 The Reformation
제2절 종교 및 사상의 투쟁기(1648∼1789) The Period of Religious and Ideological Conflicts (1648-1789)
2.1 가인형의 인생관 The Cain-Type View of Life
2.2 가인형의 인생관 The Abel-Type View of Life
제3절 정치 경제 및 사상의 성숙기 (1789-1918) The Period of Maturation of Politics, Economy and Ideology (1789-1918)
3.1 민주주의 Democracy
3.1.1 가인형의 민주주의 Cain-Type Democracy
3.1.2 아벨형의 민주주의 Abel-Type Democracy
3.2 삼권분립의 원리적 의의 The Significance of the Separation of Powers
3.3 산업혁명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3.4 열국의 강화와 식민지 분할 The Rise of the Great Powers
3.5 문예부흥에 따르는 종교 정치 및 산업의 혁명 Religious Reforms and Political and Industrial Revolutions since the Renaissance
제4절 세 계 대 전 The World Wars
4.1 탕감복귀섭리로 본 세계대전의 원인 The Providential Causes of the World Wars
4.2 제 1차 세계대전 The First World War
4.2.1 제1차 세계대전에 대한 섭리적인 개요 Summary of the Providence in the First World War
4.2.2 하늘편과 사탄편은 무엇으로 결정되는가What Decides God's Side and Satan's Side?
4.2.3 복귀섭리로 본 제1차 세계대전의 원인 The Providential Causes behind the First World War
4.2.4 복귀섭리로 본 제1차 세계대전의 결과 The Providential Results of the First World War
4.3 제2차 세계대전 The Second World War
4.3.1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섭리적인 개요 Summary of the Providence in the Second World War
4.3.2 전체주의란 무엇인가? The Nature of Fascism
4.3.3 제2차 세계대전에 있어서의 하늘편 국가와 사탄편 국가 The Nations on God's Side and the Nations on Satan's Side in the Second World War
4.3.4 하늘편과 사탄편이 각각 3대국으로 대립한 이유 The Providential Roles of the Three Nations on God's Side and Satan's Side
4.3.5 복귀섭리로 본 제2차 세계대전의 원인 The Providential Causes behind the Second World War
4.3.6 복귀섭리로 본 제2차 세계대전의 결과 The Providential Results of the Second World War
4.4 제3차 세계대전 The Third World War
4.4.1 제3차 세계대전은 기필코 일어나게 될 것인가 Is the Third World War Inevitable?
4.4.2 제3차 세계대전에 대한 섭리적인 개요 Summary of the Providence in the Third World War
4.4.3 복귀섭리로 본 제3차 세계대전의 원인 The Providential Causes behind the Third World War
4.4.4 복귀섭리로 본 제 3차 세계대전의 결과 The Providential Results of the Third World War
제1절 예수님은 언제 재림하실 것인가 When Will Christ Return?
제2절 예수님은 어떻게 재림하실 것인가 In What Manner Will Christ Return?
2.1 성서에 대한 관점 he has an incredible advantage over, head on platterPerspectives on the Bible
2.2 예수님의 재림은 지상 탄생으로 이루어진다 Christ Will Return as a Child on the Earth
2.3 구름 타고 오신다는 성구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What is the Meaning of the Verse that Christ Will Return on the Clouds?
2.4 예수님은 왜 구름 타고 재림하실 것으로 말씀하셨는가 Why Did Jesus Say that the Lord Will Come on the Clouds?
제3절 예수님은 어디로 재림하실 것인가 Where Will Christ Return?
3.1 예수님은 유대민족 가운데 재림하실 것인가 Will Christ Return among the Jewish People?
3.2 예수님은 동방의 나라로 재림하신다 Christ Will Return to a Nation in the East
3.3 동방의 그 나라는 바로 한국이다 The Nation in the East is Korea
3.3.1 이 나라는 탕감복귀의 민족적인 기대를 세워야 한다 A National Condition of Indemnity
3.3.2 이 나라는 하나님의 일선인 동시에 사탄의 일선이어야 한다. God's Front Line and Satan's Front Line
3.3.3 이 나라는 하나님의 심정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The Object Partner of God's Heart
3.3.4 이 나라에는 예언자의 증거가 있어야 한다 Messianic Prophecies
3.3.5 이 나라에서 모든 문명이 결실되어야 한다 The Culmination of All Civilizations
제4절 동시성으로 본 예수님 당시와 오늘 Parallels between Jesus' Day and Today
제5절 언어 혼잡의 원인과 그 통일의 필연성 The Chaotic Profusion of Languages and the Necessity for Their Unification
Source: https://trueteaching.org/dp/dp01/
sa.ffwpu.asn.au | 원리강론 Exposition of the Divine Principle (Wolli Kangron, 1966)